
물고기는 물에서 살아야 잘 살고
사람은 도에 살아야 잘 산다.
자상호, 맹자반, 자금장, 이렇게 세 사람은 서로 마음에 거슬리는 것이 없는
친구가 되어 잘 살았다. 그러다가 자상호가 먼저 죽었는데
친구들은 장례를 치를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 소식을 들은 공자가 자공을 시켜서 장례를 치러 주도록 했다.
그러자 장례식 날 맹자반은 자상호를 위해 악보를 만들었고,
자금장은 거문고를 연주하면서 이렇게 노래를 불렀다.
“상호야! 너는 이미 참된 곳으로 돌아갔는데, 아! 우리는 아직 살아 있는 게 한이다.”
자공이 그것을 보고 놀라서 그들에게
“고인 앞에서 노래를 부르다니 당신들은 예의도 없소?” 하고 물었다.
그러자 두 사람은 웃으면서 “그대는 예의가 무엇인지 아시오?” 하고 말했다.
자공이 공자에게 돌아와서 그 사실을 전하면서
도대체가 자상호의 친구들은 어떤 사람들이기에 그런 짓을 했는지 물었다.
그러자 공자가 말했다.
“그자들은 세상 밖에서 사는 자들이고 우리는 세상 안에서 살고 있다.
그들과 우리는 안팎이 다르듯 다른데,
널 조문객으로 보낸 내가 구태를 벗어나지 못했구나.
그자들은 지금 조물주와 친구가 되어 살고 있단다.
그자들은 이 세상에서의 삶을 마치 사마귀나 혹으로 여기고,
죽음을 부스럼으로 터진 종기쯤으로 여기고 살고 있단다.
그자들은 사람의 육신이란 자연의 여러 물질들을 가져다가 만든 것으로 생각해서
자신의 쓸개나 간이나 귀나 눈도 잊어버리고 살며,
시작도 모르고 끝도 모르면서
아득히 먼 속세 밖에서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노닐고 있다.
그런 그들이 어찌 세속의 번잡스러운 예의를 갖추어 남의 눈을 끌려고 하겠느냐?”
그러자 자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그럼 선생님께서는 어느 쪽을 원하십니까?”
“나는 하늘로부터 벌을 받은 사람이다.
하지만 내가 아는 것을 너와 나누고 싶다.”
“그렇게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물고기들은 물에서 살아야 잘 살듯이 사람은 도에 살아야
성품이 완성된다. 물고기는 물에서 살아야 서로를 잊고,
사람은 도에 살아야 서로를 잊는다.
기인은 사람의 눈에는 이상하지만
하늘의 눈으로 보면 정상이다.
그래서 하늘의 소인은 사람 중에서는 군자이지만,
사람 중에서 군자는 하늘에서는 소인이 되는 것이다.”
죽음은 참된 곳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