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간하기는 어렵고, 통솔하기는 쉽다 사람들이 여남(汝南)의 진중거(陳仲擧)와 영천(潁川)의 이원례(李元禮)를 두고 어느 쪽이 더 훌륭한지, 두 사람의 공적과 덕행에 관해 논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거기에 채백개(蔡伯喈)가 나타나 결론을 내려 주었다. “진중거는 윗사람을 간하..
주충(酒蟲) 유(劉)씨는 술을 마셨다 하면 한 동이는 마셔야 하는 사람이었다. 집이 부자라서 매일 그렇게 마셔도 형편이 나빠질 염려는 없었다. 어느 날, 외국에서 온 승려가 그를 보더니 해괴한 병이 있다고 진단했다. 유씨가 자신은 아무 병이 없다고 하자, 그 승려는 술벌레가 몸속에 들..
■ 은혜를 갚은 개미 왕 동소지(董昭之)가 배를 타고 전당강(錢塘江)을 건너는데, 개미 한 마리가 갈대 잎에 달라붙어서 어쩔 줄 몰라 하고 있었다. 동소지는 그 개미를 살려 주었다. 그날 밤 꿈에 검은 옷을 입은 사람이 100명이나 되는 시종을 거느리고 나타나 말했다. “저는 개미 왕입니..
319. 도화선 (桃花扇) / 저작자 공상임(孔尙任) 1699년에 만들어진 책으로, 정의감에 넘치는 선비 후방역(侯方域)과 아름다운 기생 향군(香君)의 비련과 함께 저물어 가는 명나라의 모습을 그린 이야기이다. 전 40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자 공상임(1648~1718)은 자가 빙지(聘之)이고, 산동성(山..
318. 장생전 (長生殿) / 저작자 홍승(洪昇) 1688년경에 만들어진 책으로, 수많은 에피소드를 낳은 당나라 현종(玄宗)과 양귀비(楊貴妃)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제목은 백거이(白居易, 당나라의 시인)가 지은 「장한가(長恨歌)」의 한 구절인 ‘7월 7일 장생전’에서 딴 것이다. 작자 스스로 “..
317. 모란정환혼기 (牡丹亭還魂記) 저작자 탕현조(湯顯祖) 1598년에 만들어진 책으로, 꿈속에서 맺은 약속이 이윽고 현실로 이루어진다는 탕현조의 명작이다. 여주인공 두여랑(杜麗娘)은 모란정에서 잠깐 졸다 꿈속에서 유몽매(柳夢梅)와 맺어졌다가, 일단 죽은 뒤 모란정에서 다시 하나가 ..
316. 한궁추 (漢宮秋) / 저작자 마치원(馬致遠) 1295년경에 만들어졌으며, 왕소군(王昭君)의 전설에 기초한 마치원의 대표작이다. 원잡극(元雜劇) 중에서도 최고의 명작으로 꼽힌다. 모연수[毛延壽, 한나라 원제(元帝) 때의 화가, 인물화에 능했다]의 계략으로 사랑하는 왕소군을 오랑캐 땅으..
315. 두아원 (竇娥寃) / 저작자 관한경(關漢卿) 1260년경에 만들어진 책으로, 무죄를 주장하는 두아(竇娥)의 비극을 그린 중국 최고의 희곡 작가 관한경의 대표작이다. 선려(仙呂)·남려(南呂)·정궁(正宮)·쌍조(雙調)의 4곡을 중심으로 4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한경은 원나라 때의 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