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0 章 : 治大國 若烹少鮮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물고기를 굽는 것과 같다. 治大國 若烹少鮮 以道苙天下 其鬼不神 非其鬼不神 其神不傷人 非其神不傷人 聖人亦不傷人 夫兩不相傷 故德交歸焉 큰 나라를 다스리려면 작은 물고기를 불에 굽듯이 해야 한다. 도로 세상을 다스리면 귀신..
59 章 : 治人事 天莫若嗇 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가장 좋은 것은 검소함이다 治人事 天莫若嗇 夫唯嗇 是謂早服 早服謂之重積德 重積德則無不克 無不克則莫知其極 莫知其極 可以有國 有國之母 可以長久 是謂深根固柢長生久視之道 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데 있어 검소함 ..
58 章 : 聖人方而不割 성인은 날카롭지만 그 모서리로 남을 해치지 않는다. 其政悶悶 其民淳淳 其政察察 其民缺缺 禍兮 福之所倚 福兮 禍之所伏 孰知其極其無正 正復爲奇 善復爲妖 人之迷 其日固久 是以聖人方而不割 廉而不劌 直而不肆 光而不燿 정치가 뚜렷이 내세우는 것 없이 흐리멍..
57 章 : 我無欲而民自樸 내가 욕심을 내지 않으면 백성들은 스스로 순박해진다. 以正治國 以奇用兵 以無事取天下 吾何以知其然哉 以此 天下多忌諱 而民彌貧 民多利器 國家滋昏 人多伎巧 奇物滋起 法令滋彰 盜賊多有 故聖人云 我無爲而民自化 我好靜而民自正 我無事而民自富 我無欲而民..
56 章 : 知者不言 言者不知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知者不言 言者不知 塞其兌 閉其門 挫其銳 解其分 和其光 同其塵 是謂玄同 故不可得而親 不可得而疏 不可得而利 不可得而害 不可得而貴 不可得而賤 故爲天下貴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240. 무문관 (無門關) / 저작자 무문혜개(無門慧開) 1228년경에 만들어진 책으로, 유무(有無)의 분별을 넘어선 절대적 ‘무(無)’를 탐구한 송나라 때 선승의 공안(公案) 해설집. ‘무문관’이란 ‘무’ 자의 정확한 탐구만이 선문(禪門)의 종지(宗旨)로 들어서는 제일의 관문이라는 뜻으로, ..
55 章 : 物壯則老 만물은 강대해지면 곧 쇠퇴한다. 含德之厚 比於赤子 蜂蠆虺蛇 不螫猛獸 不據攫鳥不搏 骨弱筋柔而握固 未知牝牡之合而全作 精之至也 終日號而不嗄 和之至也 知和曰常 知常曰明 益生曰祥 心使氣曰强 物壯則老 謂之不道 不道早已 덕을 풍부하게 갖추어서 갓난아이와 같..
239. 벽암록 (碧巖錄) / 저작자 환오(원오, 圜悟) 1135년경에 만들어진 책으로, 고전적인 선학의 문답 공안집이다. ‘벽암(碧巖)’이란 편저자인 환오가 주지로 있던 협산(夾山) 영천원(靈泉院)의 방장에 걸려 있던 액자에 적혀 있는 글로, 협산의 개조 선회(善會)가 그 깨달음의 경지에 대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