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사상과 처세
    중국의 고전 /사상과 처세 2018. 12. 31. 16:23

    중국 고전 사상의 흐름

     

    현대 중국학자들은 중국 사상의 흐름을 살필 때, 반동 권력에 밀착한 유학과 유학을 비판하는 사상 사이의 투쟁, 유심론과 유물론의 투쟁을 축으로 삼는다.

     

    유학의 창시자는 춘추시대 말기의 공자이다. 그는 은주 시대부터 전승되어 온 ()’(관습적인 생활 규범)를 사회 질서의 중심으로 삼고, 그것을 지탱하는 ()’의 덕을 개인의 내면에 확립하려 했다. 이것은 무자각적인 전승에서 자각적인 사상을 형성하는 최초의 시도였다.

     

    전국시대에 이르면, 유학에 대한 최초이자 최대의 비판자인 묵가(墨家)의 등장을 시작으로 제자백가가 출현하여 이른바 백가쟁명(百家爭鳴)’의 활기가 넘치는 황금시대를 만들어 냈다.

     

    보통 이러한 사상가를 유가(공자 · 증참 · 맹가 · 순황), 도가(노담 · 장주), 음양가(추연), 법가(상앙 · 관중 · 한비), 종횡가(소진 · 장의), 잡가(여불위), 농가(허행)9학파로 분류한다. 현대 중국에서는 이 시대를 노예제에서 봉건제로 바뀌는 변혁기로 보고, 제자백가가 대립하는 근본은 반동복고의 귀족 계급을 대표하는 유가와 신흥 지주 봉건 계급을 대표하는 법가의 대립으로 정리한다.

     

    진시황제가 천하를 통일하고, 그 뒤를 이은 한나라는 그 후 2,000년을 이어 가는 왕조 체제를 만들어 냈는데, 그 지배 원리를 유학에서 구했다. 유학은 국가 정통의 학문이 되고, 5(역경 · 시경 · 서경 · 예기 · 춘추)이 정비되어 오래토록 사람들의 정신생활을 지배하게 되었다. 후한에서 위진남북조, 수나라와 당나라에 걸쳐(1~10세기) 거기에 만족하지 못한 사람들이 노장 사상이나 불교 혹은 도교의 유행을 따랐지만, 정통 학문이라고 하면 오로지 5경의 자구를 자세하게 해석하는 훈고주석의 학문이었다.

     

    송나라(10~13세기)에 이르러 생명력을 잃은 유학을 혁신하려는 기운이 일어나 인간 존재의 본질()과 천지의 근본 원리()를 하나로 결합하는[성즉리(性卽理)] 거대한 형이상학, 이른바 성리학(性理學, 송학, 정주학, 주자학이라고도 한다)’이 완성되었다. 이 신유학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공적인 학문으로 인정받아 조선과 일본의 근세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나아가 명나라 시대에는 활기에 찬 시민사회를 배경으로 내 마음이 바로 천지 만물의 주인[심즉리(心卽理)]라고 주장하는 양명학이 일어나고, 그 흐름에서 인간성을 전통의 속박에서 해방시키려는 이지(李鷙)의 사상이 생겨났다.

     

    그러나 청나라에 들어와 이러한 관념론에 대한 반성으로 고전을 실증적으로 해석하는 고증학이 생겨나 고전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아편전쟁을 계기로 서양의 침략이 시작되자, 왕조 체제에 대한 위기감에서 서양 사상에 의해 촉발된 춘추공양전을 기초로 한 공양학이 일어나 개혁의 기수가 되었지만 결국 이것이 중국 고전 사상의 최후가 되었다.

     




    200. 사상과 처세


    201. 서경                                            221. 육도              

    202. 논어                                            222. 삼략

    203. 맹자                                            223. 손빈병법

    204. 순자                                            224. 울요자

    205. 역경                                            225. 이위공문대

    206. 대학                                            226. 제갈량집

    207. 중용                                            227. 36

    208. 효경                                            228. 묵자                                         

    209. 공자가어                                      229. 공손룡자                            

    210. 근사록                                         230. 논형                                 

    211. 전습록                                         231. 분서                                  

    212. 노자                                            232. 회남자                                   

    213. 장자                                            233. 설원

    214. 열자                                            234. 안씨가훈

    215. 포박자                                         235. 채근담

    216. 산해경                                         236. 이십사효

    217. 한비자                                         237. 열녀전

    218. 관자                                            238. 임제록

    219. 손자                                            239. 벽암록

    220. 오자                                            240. 무문관


    '중국의 고전 > 사상과 처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5. 역경 (易經)   (0) 2019.01.12
    204. 순자 (荀子)  (0) 2019.01.08
    403. 맹자 (孟子)   (0) 2019.01.05
    202. 논어 論語   (0) 2019.01.02
    201. 서경 (書經)   (0) 2019.01.01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