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로 변한 Arachne
아테나와 아라크네의 대결
아테나와 직물짜기 시합을 하는 아라크네
리디아의 콜로폰에 살았던 염색공 이드몬의 딸인 아라크네(Arachne)는
길쌈과 자수에 능해서, 주변 사람들은 물론이고, 숲이나 샘에 사는
님프들까지 그녀의 솜씨를 보러 올 정도였다.
그녀가 만드는 작품도 아름다웠지만,일하는 모습 또한 아름다웠다.
그녀는 헝클어진 털실을 솜씨 좋게 풀기도 하고, 북을 재빨리 돌려
아름다운 천을 짜기도 했는데, 이를 본 사람들은 인간의 솜씨가 아니라
공예를 관장하는 아테나 여신이 준 솜씨라고 칭찬했다.
그러나 아라크네는 사람들이 자신을 아테나 여신의 제자쯤으로
여기는 게 싫어서 '아테네 여신이라도 제 솜씨는 못 따라 올 거예요.
한번 겨루어 보았으면 좋겠어요.'라고 말하곤 했다.
이 말을 들은 아테나는 몹시 기분이 상하기도 했지만 한편으론
아라크네의 솜씨가 궁금해서 허름한 노파로 변장하고 아라크네를 찾아갔다.
노파로 변신한 아테나는 아라크네에게 신과 겨루는 것은
곧 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이니 괜히 신의 노여움을 사지말고
이제라도 여신에게 용서를 구하면 용서하실 거라고 충고했다.
하지만 교만한 아라크네는 아테나의 마지막 충고를 무시하고
더욱더 교만하게 굴었다.
아라크네와 아테나
더 이상 참지 못한 아테나는 변장을 벗고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자
님프들과 사람들이 고개 숙여 경의를 표했지만
오직 아라크네만이 거만하게 여신을 바라 보았다.
아테나와 아라크네는
최고의 자리를 두고 이젠 피할 수 없는 대결을 시작하였다.
아테나는 자신과 포세이돈이 아테네를 두고 겨룬 승부의 광경과,
신에게 대항한 인간들이 욕을 보는 장면과,
자신의 신목이자 평화의 상징인 올리브를 수놓아
아라크네에게 경쟁을 포기하라는 경고를 하였다.
그러나 아라크네는 그 뜻을 깨닫지 못하고 자신의 직물에
제우스가 황소로 변신해 에우로페를 납치하는 장면과 함께
아폴론, 포세이돈, 디오니소스 등 신들의 문란한 성생활을
뛰어난 솜씨로 수놓아 신들을 비웃었다.
아라크네의 직물은 흠잡을데 없이 완벽했지만
오만스럽고 불손한 마음이 나타나 있었다.
아테나는 아라크네의 솜씨에 내심 탄복은 했지만 그 오만불손한 태도를
용서할 수 없었다. 그래서 아라크네의 직물을 찢어버리고는
그녀의 이마에 손을 대어 그녀로 하여금 자기의 죄와 치욕을 느끼게 하였다.
.
그제서야 자신의 죄을 깨달은 아라크네는 너무나 부끄러운 나머지
스스로 목을 매었다. 아테나는 늦게나마 잘못을 깨달은 아라크네를
가엾게 여겨서 거미로 소생시켰다.
그리고 그녀의 죄를 영원히 잊지않게 하기 위해
그녀의 자손들 또한 거꾸로 매달려 실을 짜는 형벌을 받게 하였다.
신과 인간의 대결신들이 지배하던 그리스 신화의 시대에도 탁월한 인간들은 많았다.
헤라클레스 등과 같은 걸출한 영웅들 외에도
기술적, 예술적 혹은 지적인 탁월함으로 감히 신에게 도전한 인간들이 있었다.
음악의 신 아폴론에게 피리 연주를 도전한 마르시아스,
뛰어난 지능으로 명부의 신 하데스를 속인 시지프스,
밀랍으로 날개를 만들어 하늘을 난 다이달로스와
그의 아들 이카로스 등이 그들이다.
그러나 신에 도전한 이들의 말로는 모두 비극이었다
탁월함을 뜻하는‘아레테’의 일반적인 의미는 사람이나 사물이 가지고 있는
본질에 따른 우수성, 유능성, 탁월한 기량이나 기술 등을 가리킨다.
이를테면 발이 빠른 것은 발의 아레테이고, 비옥한 토지는 토지의 아레테이다.
활 쏘는 사람의 아레테는 활을 정확히 잘 쏘아 맞히는 것이고,
교사의 아레테는 학생을 훌륭히 가르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신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
그리스 신화의 모든 신들은 각자 고유의 전문적 아레테를 가지고 있다.
전쟁의 신, 음악의 신, 대장장이의 신, 미의 신 등등..
그래서 그리스 신화에서는 마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기능적 탁월함은 대체로 부단히 반복적으로 교육하고 훈련함으로써
도달할 수 있다. 기술자나 전문직 종사자의 아레테가 이 분야에 속한다.
그런데 반복과 훈련을 통해 얻은 탁월함은 다른 사람들과의 기능적 격차를
쉽게 체감하고 누리기 때문에 많은 경우 교만 혹은 오만이라는
부작용이 뒤따르게 된다. 이 부작용이 신의 분노를 불러들이는 것이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전문 분야에서의 기능적 탁월함에 그치지 않고
인격적, 도덕적 탁월함을 갖추어 조화로운 아레테의 상태를 추구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런 조화로운 이상적인 아레테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조건이 된다고 가르쳤다.
조화로운 아레테를 갖춘 인간은
스스로 행복한 삶을 누릴 뿐만 아니라,
신들의 사랑까지도 듬뿍 받았다.
뛰어난 육체적 혹은 지적 능력과 함께
용기, 사명감, 도전 정신 등과 같은
인격적 혹은 도덕적 아레테를 갖춘 영웅들을 보라.
예를 들어 헤라클레스, 페르세우스, 오디세우스 등은
신의 질시나 노여움은 커녕 신의 사랑과 보호를 받아
주어진 운명을 극복하였고 동시에 인간들의 존경까지 누렸다.
재주는 뛰어났으나 겸손을 몰랐던 아라크네는
평생 실을 잣는 거미가 됐다.
사람들이 거미를 싫어하는 것은
그때 여신이 저주를 내렸기 때문인데
거미에게 공포를 느끼는 증상을 ‘아라크네포비아’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