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는 현재 약 286개의 성,姓 (2000년 통계)이 있으며, 본(本)을 필수 요소로 한다.
한국의 성씨는 삼국 시대 이후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고,
고려 시대부터 족보를 만들고 귀족 계급의 성씨 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성씨는 대부분 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두 음절로 된 복성(複姓)도 있다.
성씨의 종류가 4천개가 넘는 중국이나 성씨가 10만이 넘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는 성씨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김(金)씨, 이(李)씨, 박(朴)씨인 사람이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여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 금산한씨(錦山韓氏)
■ 시조 : 한교(韓曒)
시조 한교(韓曒)는 청주한씨의 시조 한란(韓蘭)의 15세손이며 한우(韓佑)의 아들로
고려시대에 문과에 급제하고 보문각직제학(寶文閣直提學)을 지냈는데 효행이 뛰어났다.
그는 단지주혈(斷指注血)로 병든 어머니를 소생케 했으며 어머니가 죽자 여막(廬幕)에서
3년상(喪)을 마쳤다고 한다.
그뒤 명종 때 고향에 효자정문(孝子旌門)과 효자비(孝子碑)가 세워지고
금계군(錦溪君)에 추봉(追封)되었으며 금산(錦山)의 향사(鄕祠)에 제향(祭享)되었다고 한다.
그뒤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금산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한대운(韓大雲, 1588 戊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한홍(韓洪, 1588 戊子生) : 사마시(司馬試) 중종17년(1522) 식년시 삼등(三等)
한연(韓璉, 1588 戊子生) : 사마시(司馬試) 중종23년(1528)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3명의 과거 급제자가 있다.(무과 1명, 사마시 2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본관 연혁
금산(錦山)은 충청남도 남동부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현재 금산군은 옛 금산군과 진산군
(珍山郡)을 병합한 지역이다. 백제에는 진내군(進乃郡) 또는 진내을군(進乃乙郡)이라
부르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 진례군(進禮郡)으로 개편하였다.
983년(성종 2)에는 금계(錦溪)라 하여 전라도에 속하였다가 1305년(충렬왕 31)에
금주(錦州)로 승격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금주군이 금산군으로 개칭되어 조선말까지 이어졌다.
1896년(고종 33)에 충청남도 공주부(公州府) 소속이었던 금산군과 진산군을
전라북도로 편입하였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진산군을 금산군으로
폐합하였다. 196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라북도에서 충청남도로 편입되었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금산한씨는
1985년에는 총 79가구 322명,
2000년에는 총 176가구 589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