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신의 마음을 미루어 보면 남의 마음을 알 수 있다.
장자와 혜자가 함께 호수의 다리를 거닐고 있었는데,
장자가 물 속의 고기 떼들을 보더니 이렇게 말했다.
“저 피라미가 나와 함께 한가롭게 놀고 있네그려,
저 모습이야말로 물고기의 즐거움이 아니겠는가?”
그 말에 혜자가 대답했다.
“자넨 물고기도 아니면서 어찌 물고기의 즐거움을 아는가?”
그때 장자가 말했다.
“그러는 자네는 나도 아닌데 어떻게 내가 물고기의 즐거움을 모른다고 생각하는가?”
“본래 나는 자넬 모르네만, 자네가 본래 물고기는 아니잖은가?
그러니 자네가 물고기의 즐거움을 모르는 것은 확실하지 않은가?”
“그렇다면 처음부터 다시 얘기 해 보세.
자네가 나한테 물고기의 즐거움을 어찌 아느냐고 물었던 것은
이미 내가 물고기의 즐거움을 안다고 여겼기 때문에 물었던 것이 아닌가?
나는 지금 이 호수의 다리 위에서 저 호수 속의 물고기와 하나가 되어
그들의 마음을 통해서 그 즐거움을 알고 있는 것이라네.”
장자가 말하는 절대적인 경지에 이르면
사람은 사물과 마음의 일치를 이룰 수가 있기 때문에
자신의 마음을 미루어 보면 남의 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단순히 형식의 논리만으로는 참된 인식을 자질 수 없는 것이다.
자신을 먼저 알고 남을 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