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조스캥 데프레 (Josquin des Prés) - 「미사 팡제 링구아」
    뮤즈의 샘/ Classic 2018. 12. 25. 19:40


    Josquin des Prés, 1450년경-1521
    Kyrie from Missa Pange lingua
    미사 팡제 링구아(미사 혓바닥이여 노래하라)
    The Tallis Scholars
    Conductor : Peter Phillips


      이작품은 16세기 음악의 전형인 폴리포니의 모방기법, 소위 통모방기법의 전형인 작품으로 그의 전 작품중 최고의 걸작이며 르네상스 음악의 보물로 평가되는 곡이다. 르네상스 음악 연주의 새로운 지평을 연 피터 필립스 지휘의 탈리스 스콜라즈 연주는 이곡의 최고 명연주 중 하나이다. 이 음반은 1987년 고음악으로서는 드물게 심사위원 만장일치의 올해의 레코드로 그라모폰 레코드 대상을 받았으며 일본 레코드 아카데미 음악사 부분의 레코드상을 수상한 음반이다. 이 앙상불이 빚어내는 음향은 듣는 이의 마음에 매우 깊은 감동과 여운을 남겨주고 있다.
      조스캥 데프레는 르네상스 전 기간을 통해 배출된 작곡가들 중에 가장 위대한 작곡가로 평가되고 있다. 뒤파이와 오케겜에 의하여 개척된 모든 분야의 음악을 집대성하여 높은 수준의 음악을 많이 작곡하였다. 부르고뉴악파가 사라지고 플랑드르 악파가 그 뒤를 이어 전성기를 형성하기 시작할 때 나타난 작곡가가 조스캥 데 프레다. 출생지와 출생 년도에 관해 많은 설이 있으나 1440년 경 오늘날 벨기에와 프랑스의 국경지역인 콘데(Conde)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가장 유력시되고 있다. 어린시절에 초기 플랑드르 악파의 거장인 오케겜에게서 음악수업을 받은 것이 조스캥 데 프레의 앞날을 큰 영향을 끼쳤다. 언제 이탈리아로 진출하였는지 확실치 않으나 1459년에서 1472년까지 밀라노 성당에서 가수로 봉직한 것 같고, 1474년부터 12년간 밀라노의 갈레아로 마리아 스포르자(Galearo Maria Sforzza) 공작의 예배당에서 일하였으며 그녀가 암살되자 그의 형제 중 하나인 아스카니오 스포르차(Ascanio Sforzza) 신부 밑에서 일했다. 조스캥의 작품에서 오케겜과 오브레히트의 작곡기법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카논의 사용, 선율을 빌려와서 사용한다든지, 마지막을 향해 몰아치는 기법은 오케겜의 기법에서 온 것이다. 조스캥은 오브레히트의 모방기법을 더욱 체계적으로 모든 성부에 적용하여 전곡을 통일하는 기법으로 사용하였다. 1504년 고향 콘데로 돌아와 노틀담 성당 참사회장으로 일하다가 1521년 영광에 가득찬 생애를 마쳤다. 조스캥은 당시의 수많은 음악가로부터 '우리시대 최고의 음악가''음악가들의 아버지'라는 칭송을 받았으며 마르틴 루터는 그를 가장 좋아하여 "많은 작곡가들이 음의 지배를 받지만 그는 음표의 주인이며, 음표는 그가 원하는데로 움직인다"라고 격찬했다고 한다. 조스캥은 중세와 근대의 전환점에 있는 작곡가라는 점에서 몬체 베르디가 르네상스와 바로크 사이에, 헨델이 바로크와 고전파시대 사이에 있는 것 같다. 그를 가리켜 '르네상스시대의 모차르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