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해주 최씨(海州 崔氏)
    옛 이야기/한국의 姓氏 2019. 5. 13. 12:47

      
      ■ 한국에는 현재 약 286개의 성,姓 (2000년 통계)이 있으며, 본(本)을 필수 요소로 한다. 
      한국의 성씨는 삼국 시대 이후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고, 
      고려 시대부터 족보를 만들고 귀족 계급의 성씨 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성씨는 대부분 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두 음절로 된 복성(複姓)도 있다. 
      성씨의 종류가 4천개가 넘는 중국이나 성씨가 10만이 넘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는 성씨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김(金)씨, 이(李)씨, 박(朴)씨인 사람이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여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 해주 최씨(海州 崔氏)  
      
      ■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최온(崔溫)은 고려 해주(海州)의 목민관(牧民官)으로 있을 때 선정을 베풀었고, 
      판이부사(判吏部事)를 지냈다. 그 선조들이 누대에 걸쳐 황해도에 세거하였으므로 
      해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관향 -황해도 해주시
      ◎시조 -최온 (崔溫)
      ◎주요 집성촌 -황해도 해주시 -전남 화순군 -전남 영암군 -경북 포항시
      ◎주요 인물 -최충, 최유선, 최유길, 최사제, 최사량, 최사충, 최약, 최관, 최윤의, 
      숙비 최씨, 최자, 최홍윤 최만리, 최호, 최황, 최경회, 최경창, 숙빈 최씨, 최규서, 
      최승희, 최상업, 최창윤, 최불암
      ◎인구(2000년) -181,840명 (43위)
      ● 시조
      해주 최씨(海州 崔氏)의 시조인 최온(崔溫)은 고려 해주의 목민관으로 선정을 베풀었으며 
      또한 문명이 높았고, 후에 판이부사(判吏部事)에 이르렀다. 
      황해도(黃海道) 대녕군(大寧郡 : 海州)에서 조상 대대로 학문을 숭상하고 행실을 돈독히 
      하였으며 해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 역사
      해주 최씨의 대표적 인물로는 고려 문종 때 구재학당(九齋學堂)이라는 사학을 건립하여 
      인재들을 길러내어 해동공자로 추앙받는 최충(崔沖),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50권)을 
      편찬한 최윤의(崔允儀), 조선 세종 때의 학자요 청백리인 최만리(崔萬理),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에서 순절한 최경회(崔慶會),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최규서(崔奎瑞) 등이 있다. 
      해주 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8명을 배출하며, 최씨 중에서 가장 출세한 가문이 되었다.
      ● 본관
      해주(海州)는 황해도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때 내미홀(內米忽), 일명 지성(池城), 
      장지(長池) 라 하였고, 신라 경덕왕이 폭지(瀑池)로 고쳤으며, 고려 태조(太祖)가 남쪽이 
      대해(大海)에 임하고 있다고 하여 해주로 개명하였다. 고려 성종 때 와서는 별호로 대령(大寧)·
      서해(西海) 등으로 불렸다. 1895년(조선 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해주부가 설치되었고, 
      1896년 도제 실시로 황해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54년 북한의 관제 정비로 황해남도의 도 소재지가 되었다.
      ● 분파
      ⊙교리공파(校理公派) - 최린              ⊙현감공만현파(縣監公派) - 최만현
      ⊙사정공파(司正公派) - 최상기           ⊙승지공파(承旨公派) - 최윤범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 최하        ⊙진사공윤망파(進士公派) - 최윤망
      ⊙문정공파(文貞公派) - 최숙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 최효종
      ⊙집의공파(執義公派) - 최승순           ⊙진사공윤탁파(進士公派) - 최윤탁
      ⊙대녕군파(大寧君派) - 최단              ⊙좌윤공파(左尹公派) - 최안덕
      ⊙서운부정공파(書雲副正公派) - 최용  ⊙감찰공파(監察公派) - 최중습
      ⊙전서공파(典書公派) - 최용기           ⊙사평공파(司評公派) - 최제
      ⊙판사복시공파(判司僕寺公派) - 최용  ⊙소윤공파(少尹公派) - 최덕해
      ⊙전한공파(典翰公派) - 최연              ⊙전서공하파(典書公派) - 최하
      ⊙진사공파(進士公派) - 최온              ⊙해릉군파(海陵君派) - 최빈
      ⊙생원공파(生員公派) - 최당              ⊙현감공우파(縣監公派) - 최우
      ⊙좌랑공파(佐郞公派) - 최정              ⊙복야공파(僕射公派) - 최부
      ⊙현감공파(縣監公派) - 최각
      ● 인물
      해주 최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8명을 배출하였다.
      최충 - 시조 최온의 아들, 동방유학의 비조이며 해동공자
      최유엄 - 고려 충숙왕 때 수첨의정승, 판선부사, 대령부원군
      최만리 - 세종대왕이 훈민정음(한글)을 창제할 때 반대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최경창 - 조선 시와 문장에 뛰어났다.
      최황 - 조선 선조 때 이조판서
      최규서 - 조선 영조 때 우의정, 영의정
      숙빈 최씨 - 조선 숙종의 후궁이자 영조의 어머니로 증영의정 최효원의 딸이다.
      ● 집성촌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유곡리 -황해도 해주시 동동 -황해도 해주시 남욱동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오동리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서성리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운농리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용리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경치리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임리-경상북도 영일군 연일면 자명동
      ● 항렬표
      전한공파(중시조로 1세)
      28세-옥(玉) 29세-석(錫) 30세-부(溥) 31세-병(秉) 32세-섭(燮) 병(秉) 33세-노(老) 재(在)
      34세-호(鎬) 35세-일(一) 36세-수(秀) 37세-영(英) 38세-중(重) 39세-종(鍾) 40세-영(泳) 
      41세-동(東) 42세-현(炫) 43세-규(圭) 44세-옥(鈺) 45세-연(演) 46세-모(模) 47세-희(熙) 
      48세-균(均) 49세-현(鉉) 50세-철(澈)
      ●고려 왕실과의 인척관계
      숙비 최씨(淑妃 崔氏, ? ~ 1184년)는 고려의 제16대 왕 예종의 제4비이다.
      대경(大卿)을 지낸 최용(崔湧)과 그 부인 김씨의 8남 5녀 중 셋째 딸로, 본관은 해주이다. 
      최용은 고려 전기 《칠대실록》 등을 편찬한 최충(崔冲)의 증손자이다. 
      1121년(예종 16년) 음력 1월 3일 예종이 왕비로 맞아들이기로 결정하여 음력 1월 28일에 
      입궁하였다 처음에는 그 호를 장신궁주(長信宮主)라고 하였으며, 1129년(인종 7년) 음력 2월 20일 
      예종의 아들인 인종에 의해 숙비(淑妃)에 책봉되었다. 훗날 1144년(인종 22년)에는 
      그녀의 아버지인 최용에게 수사공 상서우복야 참지정사(守司空 尙書右僕射 叅知政事)가 
      추증되었다 1184년(명종 14년)에 사망하였다. 
      시호는 숙비(淑妃)이며, 능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는 것이 없다. 
      남편 예종과의 사이에서 승통 각관을 두었다.
      ●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화경숙빈 최씨(和敬淑嬪 崔氏, 1670년 12월 17일) ~ 1718년 4월 9일)는 
      조선의 19대 왕 숙종(肅宗)의 후궁이자, 21대 왕 영조(英祖)의 생모이다. 
      본관은 해주(海州)이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해주최씨는
      1985년에는 총 38,628가구 161,782명, 
      2000년에는 총 56,592가구 181,840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옛 이야기 > 한국의 姓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천 최씨(通川 崔氏)  (0) 2019.06.10
    한남최씨(崔氏) / 하동최씨(崔氏)  (0) 2019.06.10
    화순 최씨(和順 崔氏)  (0) 2019.05.13
    황주최씨(黃州崔氏)  (0) 2019.05.13
    흥해 최씨(興海 崔氏)  (0) 2019.05.13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