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는 현재 약 286개의 성,姓 (2000년 통계)이 있으며, 본(本)을 필수 요소로 한다.
한국의 성씨는 삼국 시대 이후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고,
고려 시대부터 족보를 만들고 귀족 계급의 성씨 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성씨는 대부분 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두 음절로 된 복성(複姓)도 있다.
성씨의 종류가 4천개가 넘는 중국이나 성씨가 10만이 넘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는 성씨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김(金)씨, 이(李)씨, 박(朴)씨인 사람이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여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 영암해씨(靈巖海氏)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등의 문헌에 영암(靈岩) 본관이 전해오는데,
시조나 그밖의 사항은 알려져 있지 않다.
- 김해해씨 시조의 묘가 영암(靈巖)에 있는 것으로 미루어
김해해씨와 영암해씨는 동원(同源)이라고 추측된다.
●본관 연혁
영암(靈巖)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마한의 영토였다가
삼국시대에는 백제 땅으로 월내군(月奈郡)으로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영암군(靈巖郡)이 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낭주(郎州)로 개칭하고 안남도호부가 설치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낭주를 폐하고 안남도호부가 전주로 옮겨감으로
영암군으로 환원되었다. 낭산(朗山)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 영암군이 되었고,
1896년에 전라남도 영암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영암면과 시종면 등 11개 면으로 분면되었고,
1979년 영암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암해씨는
1985년에는 총 27가구 80명,
2000년에는 총 43가구 121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