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는 현재 약 286개의 성,姓 (2000년 통계)이 있으며, 본(本)을 필수 요소로 한다.
한국의 성씨는 삼국 시대 이후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고,
고려 시대부터 족보를 만들고 귀족 계급의 성씨 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성씨는 대부분 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두 음절로 된 복성(複姓)도 있다.
성씨의 종류가 4천개가 넘는 중국이나 성씨가 10만이 넘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는 성씨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김(金)씨, 이(李)씨, 박(朴)씨인 사람이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여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 단양 피씨(丹陽 皮氏)
■ 충청북도 단양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피위종(皮謂宗)은 중국 송나라에서 금오위상장군(金吾衛上將軍)을 지내고,
고려 정종 때 동국안렴사(東國按廉使)로 고려에 왔다가 귀화하여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지내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로 추증되었다. 피위종의 차남 피인고(皮寅古)가 고려시대에 대상(大相),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단산군(丹山君)에 봉해지면서 홍천 피씨에서 분적했다.
◎관향 -충청북도 단양군
◎시조 -피위종 (皮謂宗)
◎주요 중시조 -피인고 (皮寅古)
◎주요 집성촌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 천왕동
◎주요 인물 -피자휴, 피원량
◎인구(2000년) -1,399명
● 기원
『조선씨족통보』에 따르며 피씨(皮氏) 연원에 대해서 중국 천수(天水)에서 계출된 성씨로
나타나 있으며 주나라 경사인 번중피(樊仲皮)라는 사람이 공명(功名:공을 세워 널리 알려진
이름)이 있어 이름 마지막 글자인 피자(皮字)를 따서 성(姓)으로 삼았다고 한다.
그뒤 진나라 효제 때 피초(皮初)라는 사람이 위문장을 지냈다고 하며 당나라 때 피일휴와
그의 두아들 피중업, 피광업이 문명을 떨쳤다는 기록이 전한다.
● 시조
시조는 중국 송나라에서 금오위상장군(金吾衛上將軍)을 지낸 피위종(皮謂宗)이다.
피위종은 고려 정종 때 동국안렴사(東國按廉使)로 고려에 왔다가 귀화하여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지내고,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로 추증되었다.
피위종(皮謂宗)의 장남 피인선(皮寅善)이 정당문학(政堂文學), 좌복야(左僕射) 등을 역임하고
홍천군(洪川君)에 봉해졌으며, 차남 피인고(皮寅古)는 대상(大相),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단산군(丹山君)에 봉해짐으로써 본관을 단양으로 삼고 홍천 피씨에서 분적했다.
● 분파
문평공파(文平公派) 충경공파(忠敬公派)
● 본관 연혁
단양(丹陽)은 충청북도 단양군 지역의 옛 행정구역명으로 고구려의 적산현(赤山縣) 혹은
적성현(赤城縣) 일대였다. 단양은 삼국시대에 삼국이 각축을 벌였던 지역으로, 551년
(신라 진흥왕 12)에 백제와 신라의 공동작전으로 신라의 영토가 되어 진흥왕이 순시할 때 세운
적성비가 남아 있다. 757년(경덕왕 16)에 내제군(奈提郡: 堤川)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단산현(丹山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1018년(현종 9)에 원주(原州)에
속하였다가 뒤에 충주(忠州)의 속현이 되었다. 1291년(충렬왕 17)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고, 1318년(충숙왕 5)에 단양으로 개칭하여 지군사(知郡事)로 승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군(郡)이 되었고,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忠州府)의
관할하에 들어갔다가,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영춘군(永春郡)을 병합하여 단양군이 되었다.
1979년에 단양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 인물
관직에 오른 주요 인물로는 직학사(直學士) 피맹인(皮孟仁), 한림학사(翰林學士) 피원휴(皮元休),
상서(尙書) 피자휴(皮子休), 현감(縣監) 피원량(皮元亮), 참의(參議) 피재구(皮栽九),
사성(司成) 피영기(皮永基), 참의(參議) 피연길(皮然吉), 한성판윤(漢城判尹) 피세숙(皮世塾),
학자(學者) 피병추(皮秉樞) 등이 있다. 특히 피자휴(皮子休)는 종부사주부(宗簿寺注簿)를 거쳐
상서(尙書)에 이르렀는데, 박학하고 시문(詩文)에 능했다.
고려말 사람인 피원량(皮元亮)은 순창현령(淳昌縣令)으로 있으면서 왜구를 방비하는데 힘썼다.
조선 헌종 때 미산(薇山) 피병추(皮秉樞)는 학문이 넓고 문장에 뛰어난 학자로 이름이 높았다.
피자휴(皮子休) : 고려 후기 문신.
고려 공양왕(恭讓王) 2년(1390년) 경오(庚午) 경오방(庚午榜) 병과(丙科) 7위로 문과에 급제하여
상서를 역임했다.
피원량(皮元亮) : 고려 후기 관료.
고려 말 순창현령(淳昌縣令)으로 재직할 때 왜구(倭寇)가 침략하자 염군리(廉君利),
고윤덕(高允德) 등과 모의하여, 순창현(淳昌縣)의 남쪽 울타리에 돌사다리를 세우고
높이 올라가 여섯 곳에 돌을 쌓았으며, 그곳에서 왜구의 동정을 살피며
돌을 떨어뜨려 분쇄하고자 하였다.
왜구는 대비가 철저함을 알고 감히 접근하지 못했다.
● 집성촌
서울특별시 구로구 천왕동, 오류동
● 인구
단양 피씨는 2000년 통계청의 인구조사에서
436가구, 1,399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