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장흥형씨(長興邢氏)
    옛 이야기/한국의 姓氏 2019. 3. 8. 22:58

      
      ■ 한국에는 현재 약 286개의 성,姓 (2000년 통계)이 있으며, 본(本)을 필수 요소로 한다. 
      한국의 성씨는 삼국 시대 이후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고, 
      고려 시대부터 족보를 만들고 귀족 계급의 성씨 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성씨는 대부분 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두 음절로 된 복성(複姓)도 있다. 
      성씨의 종류가 4천개가 넘는 중국이나 성씨가 10만이 넘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는 성씨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김(金)씨, 이(李)씨, 박(朴)씨인 사람이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여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 장흥형씨(長興邢氏) 
      
      ■ 장흥형씨(長興邢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형형심(邢邢○, 1640 庚辰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형여신(邢汝藎, 1629 己巳生) : 무과(武科) 현종1년(1660) 식년시 갑과(甲科)
       형의빈(邢義賓, 1669 己酉生) : 무과(武科) 숙종20년(1694) 알성시 병과(丙科)
       형계운(邢繼雲, 1646 丙戌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형사효(邢嗣孝, 1646 丙戌生) : 율과(律科) 0년(0) 
      * 모두 5명의 과거 급제자가 있다.(무과 4명, 율과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본관 연혁
      장흥(長興)은 전라남도의 남쪽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원래는 백제의 오차현(烏次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오아(烏兒)로 개칭되어 보성군에 속하였다. 고려 초에 
      정안현(定安縣)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현종 때에 장흥부(長興府)로 승격되었다. 
      1265년(원종 6)에 다시 회주목(懷州牧)으로 승격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장흥부로 
      강등되었다. 1392년(태조 1)에 수령현의 중령산에 성을 쌓고 중심지로 했으며, 
      1413년(태종 13)에 장흥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652년(효종 3) 장흥현으로 강등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장흥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남도로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웅치(熊峙)·회천(會泉) 2개면이 보성군에 이관되었으며, 
      1936년 부동면(府東面)을 장흥면으로 개칭하고, 남상(南上)·남하(南下) 양면을 
      용산면(蓉山面)으로, 고읍면(古邑面)을 관산면(冠山面)으로 개칭하였다. 
      1942년 장흥면이 장흥읍으로 승격하였고, 
      1980년 관산면이 관산읍으로, 대덕면이 대덕읍으로 승격하였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장흥형씨는
      1985년에는 총 16가구 69명, 
      2000년에는 총 146가구 455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옛 이야기 > 한국의 姓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현씨(驪州玄氏)   (0) 2019.03.08
    진주 형씨(晋州邢氏)  (0) 2019.03.08
    나주호씨(羅州扈氏)  (0) 2019.03.07
    신평호씨(新平扈氏, 보안,나주)  (0) 2019.03.07
    보안호씨(保安扈氏)  (0) 2019.03.07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