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는 현재 약 286개의 성,姓 (2000년 통계)이 있으며, 본(本)을 필수 요소로 한다.
한국의 성씨는 삼국 시대 이후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고,
고려 시대부터 족보를 만들고 귀족 계급의 성씨 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성씨는 대부분 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두 음절로 된 복성(複姓)도 있다.
성씨의 종류가 4천개가 넘는 중국이나 성씨가 10만이 넘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는 성씨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김(金)씨, 이(李)씨, 박(朴)씨인 사람이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여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 남양홍씨(南陽洪氏) / 당홍계
■ 당홍계- 시조 : 홍은열(洪殷悅)
남양 홍씨는 고려 개국공신으로 삼중대광태사(三重大匡太師)를 지낸 홍은열(洪殷悅)을
기세조(起世祖)로 하는 남양홍씨 당홍계(南陽洪氏 唐洪系)와 고려시대 금오위 별장동정을 지낸
홍선행(洪先幸)을 시조로 하는 남양홍씨 토홍계(南陽洪氏 土洪系)의
두 계통으로 나뉜다.
시조 홍천하는 고구려 27대 왕인 영유왕때 중국 당나라에서 8학사의 한사람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유학과 문화를 혁신시켰다. 신라 27대왕인 선덕여왕때 유학의 발전에 공을세워 당성(남양)
백에 봉해졌고 태자태사가 되었으며 본관을 당성으로 하였다. 당성이 후에 남양으로 지명이 바뀌어
본관을 남양으로 하고있다. 그리고 고려 개국공신며 삼중대광태사인 홍은열을 중시조로 1세
조상으로 하여 대를 잇고 있다. 홍은열은 원래 이름이 홍유(儒)이었는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태조가 '은(殷)나라 부열(傅說 : 중국 은나라 고종 때의 명재상)과 같다.'며 이름을 은열로 하사
했다고 한다.회인 홍씨도 후에 합본하였다고 한다.
● 과거급제자(조선시대)
홍응(洪應) : 문과(文科) 문종1년(1451) 증광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홍춘경(洪春卿) : 문과(文科) 중종31년(153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명형(洪命亨, 1581 辛巳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명구(洪命耉, 1596 丙申生) : 문과(文科) 광해군11년(1619)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습(洪○, 1586 丙戌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석기(洪錫箕, 1606 丙午生) : 문과(文科) 인조19년(1641)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우기(洪宇紀, 1633 癸酉生) : 문과(文科) 현종6년(1665) 정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수점(洪受漸, 1646 丙戌生) : 문과(文科) 숙종10년(168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호인(洪好人, 1674 甲寅生) : 문과(文科) 숙종32년(1706)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홍계희(洪啓禧, 1703 癸未生) : 문과(文科) 영조13년(1737)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등 모두 1591명의 과거 급제자가 있다.
(문과 330명, 무과 151명, 사마시 836명, 역과 112명, 의과 24명, 음양과 23명, 율과 5명, 주학 110명)
* 과거 급제자는 본관이 같고 계통이 다른 본관과 구분이 안된 것이다.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 항렬자
29世-병(秉) 30世-섭(燮) 31世-재(在) 32世-종(鍾) 33世-순(淳) 34世-표(杓) 식(植)
35世-성(性) 지(志) 36世-기(基) 의(義) 37世-석(錫) 진(鎭) 38世-택(澤) 락(洛) 39世-근(根) 주(柱)
40世-환(煥) 희(熙) 41世-시(時) 중(重) 42世-용(鎔) 수(銖) 43世-연(演) 홍(洪) 44世-영(榮) 동(東)
45世-사(思) 연(然) 46世-균(均) 철(喆) 47世-경(庚) 상(商) 48世-태(泰) 구(求) 49世-정(禎) 락(樂)
50世-형(炯) 욱(煜) 51世-요(堯) 혁(赫) 52世-호(鎬) 련(連) 53世-수(洙) 용(溶) 54世-모(模) 환(桓)
55世-찬(燦) 훤(煊) 56世-증(增) 배(培) 57世-옥(屋) 선(銑) 58世-윤(潤) 준(準) 59世-련(?) 백(栢)
60世- 61世- 62世- 63世- 64世- 65世- 66世- 67世- 68世-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0世孫은 29代孫)
● 본관
본관인 남양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일대를 관할하던 옛 행정구역이다.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남양홍씨는
1985년에는 총 92,124가구 382,090명,
2000년에는 총 117,638가구 379,708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