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달성 하씨(達城 夏氏)
    옛 이야기/한국의 姓氏 2019. 4. 13. 21:29

      
      ■ 한국에는 현재 약 286개의 성,姓 (2000년 통계)이 있으며, 본(本)을 필수 요소로 한다. 
      한국의 성씨는 삼국 시대 이후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고, 
      고려 시대부터 족보를 만들고 귀족 계급의 성씨 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성씨는 대부분 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두 음절로 된 복성(複姓)도 있다. 
      성씨의 종류가 4천개가 넘는 중국이나 성씨가 10만이 넘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는 성씨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김(金)씨, 이(李)씨, 박(朴)씨인 사람이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여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 달성 하씨(達城 夏氏) 
      
      ◎관향 -달성
      ◎시조 -하흠 (夏欽)
      ◎주요 집성촌 -경북 달성군, 경북 경산군, 경남 밀양군, 강원 원주군, 전북 순창군, 전북 장수군
      ◎주요 인물 -하인경
      ◎인구(2000년) -4,052명
      ● 시조 
      달성 하씨(達城 夏氏)의 시조는 중국 송나라에서 대도독(大都督)을 지낸 하흠(夏欽)이다. 
      그는 고려 인종(仁宗, 1122년~1146년) 때 고려에 귀화하여 달성(達成, 대구)에 정착하였고, 
      그의 아들 하용(夏溶)은 나라에 공을 세워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 
      그 후 후손들은 본관을 달성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인구수는 2000년 기준 4,052명이다.
      ● 본관 연혁
      달성(達城)은 현재 대구광역시 일원의 옛 지명으로 별호로 삼한시대에는 달구화(達句火) 
      또는 달구벌(達句伐)이라 불렀다. 6세기 경에는 신라에 귀속되었다. 군현제가 정비되면서 초기에 
      위화군(喟火郡: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일대)과 달구화현(達丘火縣: 達句伐)으로 
      나뉘어 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위화군은 대구현(大丘縣)으로, 다사지현은 하빈현
      (河濱縣), 설화현은 화원현(花園縣), 추량화현은 현효현(玄驍縣), 치성화현은 해안현(海安縣)
      으로 각각 바뀌었다. 그리고 하빈현·화원현은 수창군(壽昌郡), 해안현은 장산군(獐山郡: 慶山), 
      현효현은 화왕군(昌寧)에 속하게 되었다. 현효현은 544년(진흥왕 5)에 삼량화정이 설치된 
      군사적 중심지이다. 
      940년(태조 23) 수창군은 수성군(壽城郡)으로 개칭하고 1018년(현종 9)에 경주의 관할이었다가 
      1390년(공양왕 2) 감무를 두면서 독립했다. 대구현은 1018년(현종 9) 경산부(京山府: 星州)의 
      속현이 되었으나 1143년(인종 21) 현령을 둠으로써 승격하기 시작했다. 1394년(태조 3)에 
      대구현은 수성현과 해안현을 관할하게 되었으며 1419년(세종 1)에 군으로, 1466년(세조 12)에 
      도호부로 승격했다. 1601년(선조 34) 경상도 관찰사영이 설치되면서 경상도의 중심지로 자리잡았다. 
      현종 때에는 풍각현(豊角縣)을, 숙종 때에는 화원현을 다시 합병하여 면적을 확대함은 물론 
      교통의 요지를 확보했다. 영조 때에 대구(大丘)를 대구(大邱)로 변경하였으며,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대구군이 되었다가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대구부의 
      시가지 부분인 대구면이 대구부로 독립하고 옛 대구부의 일부와 현풍군의 일부가 통폐합되어 
      달성군이 되었다. 1938년 달성군의 일부가 대구부로 편입되었고, 1949년에는 대구시로 개편되었다. 
      1981년에 대구직할시로 승격되었고, 1988년에 달서구가 신설되었다. 1995년 대구광역시로 
      개편하면서 달성군을 통합하였다.
      ● 인물
      하광신(夏光臣)은 하흠의 현손으로 고려 때에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역임하였다.
      하혁하(夏赫河)는 고려조(高麗朝) 때 대장군(大將軍)에 이르렀다.
      하인경(夏仁敬)은 조선조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을 역임하였다.
      하시우(夏時雨)는 부호군(副護軍)을 역임하여 달성 하씨을 중흥시켰다.
      하시찬(夏試鑽)는 정조(正祖) 때 학자로 열암집(悅庵集)을 저술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달성하씨는
      1985년에는 총 713가구 2,823명, 
      2000년에는 총 1,250가구 4,028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옛 이야기 > 한국의 姓氏'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도 하씨(影島 河氏)  (0) 2019.04.13
    진양 하씨(晉陽 河氏)  (0) 2019.04.13
    산동학씨(郝氏)/ 충주학씨(郝氏)  (0) 2019.04.13
    가주한씨(嘉州韓氏)  (0) 2019.04.07
    곡산 한씨(谷山 韓氏)  (0) 2019.04.07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