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담의 난(毗曇-亂)
비담의 난(毗曇-亂)은 신라 645년 상대등에 오른 비담이 권력을 장악하여
647년 1월, 여주불능선리(여군은 나라를 다스릴 그릇이 못 된다)"라는 명분을 내걸고
염종의 군사와 함께 출정하여 일으킨 선덕여왕 대의 반란이다.
이로 비담은 도망치다가 김유신에 의해 처참한 최후를 맞고
그의 9족과 30명이 모두 숙청당했다.
●계기
647년 1월, 비담은 주위의 꾐에 넘어가 염종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고 한다.
이 때 선덕여왕의 심장병은 최고조에 달하여,
선덕여왕의 기력이 쇠할 때를 노려 난을 일으켰다는 일설이 있다.
●김유신과의 전투
◎월성에서의 전투
난의 혼란스러운 기간 동안, 월성을 중심으로 전투가 벌어졌다.
김유신이, 먼저 월성을 장악하여 세가 밀린 비담은 월성에 진을 쳤다고 전해진다.
◎월성 추락
난 도중, 밤에 큰 유성이 떨어지자 이를 본 비담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저 별의 추락은 여주가 패망하고 새로운 계림이 세워 질 것을 예언하는 것이다.”
별이 떨어지는 것을 본 유신군은 사기가 좋지 않았다.
이로 비담의 승리가 다시 보이는 추세가 되었다.
●승패 확정
이 때, 김유신은 한 가지 꾀을 내었는데
큰 연에다 불 붙인 허수아비를 달았고 그 연을 날렸다.
이는 꼭 별이 다시 올라가는 것처럼 보여, 반란군의 사기가 떨어졌다.
이 때를 공략해 김유신은 반란군을 토벌하였다.
●비담의 죽음
비담은 토벌소식을 듣고 급히 도망쳤다.
그러나, 서라벌도 못 벗어나고 김유신에 의해 최후를 맞는다.
●진덕여왕 즉위
혼란스런 난 도중인, 647년 1월 8일에
선덕여왕이 승하하고 말았다.
결국 진덕여왕이 왕위를 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