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즈의 샘/Jazz & Bluse

B B King / There Must Be A Better World Somewhere

늘푸른 봄날처럼 2019. 4. 25. 10:45






There Must Be A Better World Somewhere
B B King
    Sometimes I wonder Just what am I fighting for? I win some battles But I always lose the war I keep right on stumblin' In this no-man's land out here But I know Mmmmm yes, I know There must be a better world somewhere Flying high Some joker clips my wings Just because he gets a kick Out of doing those kind of things I keep on fallin' in space Or just hangin' in mid-air But I know Ohh yes, I know There has just got to be a better world somewhere Every woman I want only wants herself Everybody I love Seems to love somebody else And every woman Got a license to break my heart And every love, oh it's over Over before it gets a chance to start If it ain't dead Maybe in the year after Instead of tears I'll learn all about laughter But meanwhile I'm stuck out here It just ain't fair, but I know I said I know Oh yes, I know There must be a better world somewhere There's just gotta be Gotta be a better world somewhere -------------------------------------- 1925년 미국 미시시피주 인디애놀라에서 태어났다. 1946년 멤피스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디스크자키로 활동하던 중 ‘블루스 보이(Blues Boy)’라는 뜻의 ‘비비’라는 별명을 얻었다. 1949년 가스펠 창법과 블루스 기타 연주가 담긴 싱글 "미스 마서 킹(Miss Martha King)"을 발표하며 가수로 데뷔했다. 1952년 싱글 Three O'Clock Blues (1952년 미국 빌보드 알앤비 차트 1위)를 처음 히트시킨 후 You Upset Me Baby (1954년 1위), Sweet Sixteen (1960년 2위) 등의 싱글을 연속 히트시키며 블루스 가수 및 기타리스트로서 명성을 얻었다. 1960년대에는 Rock Me Baby, The Thrill Is Gone 등의 곡으로 백인 청중과 미국 주류 음악계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또한 특유의 비브라토(vibrato) 기타 스타일로 1960년대 후반 록 기타리스트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1979년 옛 소련에서 공연한 최초의 블루스 음악가로 기록되는 등 전 세계를 순회하며 2015년 타계하기 전까지도 왕성한 음악활동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