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usicaä of the Valley of the Wind
for music box / Mutsushiro Nishiwaki
오르골(orgel)은 자명금(自鳴琴)이라고도 하며 길이가 다른 금속판을
음계순으로 달고 이에 접하여 가시와 같은 바늘이 촘촘히 붙은 원봉을 부착해서
태엽의 힘으로 원통을 돌리면 바늘이 금속판을 튕겨서 소리를 내도록 장치되고
자동적으로 음악이 연주되는 장난감 악기이다.
1770 년경 유럽의 귀족들 사이에 유행되어 담배케이스, 콤팩트, 인형상자 등에
오르골을 장치하였다. 실용적으로는 자명시계의 시끄러운 벨을
오르골의 음악으로 대신하고 있으며 원통에 부착한 가시의 위치를 달리해서
여러 음악을 연주하게 하는데 소형이어서 음의 템포,정확한 음계 등의 조정이 어렵다.
오르골을 구미에서는 Music Box 또는 Musical Box라고 부르며,
사실 오르골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말로 에도시대에
네덜란드인이 손으로 돌리는 오르간을 일본에 건넨 뒤에 생겼다.
네덜란드어로 오르간 이라는 뜻의 ORGEL이 오르골로 변하여
소리가 나는 자동장치 Music Box와 혼동되어 정착 된것이다.
오르골의 기원은 중세 유럽의 르네상스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교회의 시계탑에는 시간을 알리기 위해
크고 작은종을 기계장치로 울리게하는 카리용이란 것이
있었다는데 사람들은 마을 곳곳에 울려퍼지는
이 천상의 음악을 사랑하였고
이를 탁상에서 재현하고자 연구를 하게 된 후
각종기술이 발명되어
오르골의 원형이 완성된 것은18세기말의 일이다.
최초로 오르골을 만든사람은 스위스 제네바의 시계장인
A.파브르로 처음에는 시계나 담배상자,반지 등에
응용되었으며 이를 실린더 오르골이라 하는데
이는 음악 신호로서의 핀을 원통에 붙혀
이핀이강철 빗살을 튕기며 음악을 연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