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는 현재 약 286개의 성,姓 (2000년 통계)이 있으며, 본(本)을 필수 요소로 한다.
한국의 성씨는 삼국 시대 이후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고,
고려 시대부터 족보를 만들고 귀족 계급의 성씨 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성씨는 대부분 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두 음절로 된 복성(複姓)도 있다.
성씨의 종류가 4천개가 넘는 중국이나 성씨가 10만이 넘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는 성씨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김(金)씨, 이(李)씨, 박(朴)씨인 사람이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여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 진양 하씨(晉陽 河氏)
■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하공진(河拱辰), 하진(河珍), 하성(河成)으로 3가지 계통이 있으며, 같은 조상을
뿌리로 뒀을 것이라 추측하고 있다. 고려 충렬왕 때 하즙이 선조들이 진양대도호부에
모여 사는 것을 보고 이름을 지었다.
◎관향 -경상남도 진주시
◎시조 -하공진(河拱辰) 하진(河珍) 하성(河成)
◎주요 집성촌 -경북 경주시 -경남 진주시 -경남 남해군 -경남 창녕군 -경남 합천군
◎주요 인물 -하륜, 하연, 하위지, 하응림, 하경덕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진주하씨는
1985년에는 총 35,563가구 148,233명,
2000년에는 총 37,744가구 121,054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연원
하씨는 삼한시대부터 있었던 성씨라고 전해지지만 확실한 정보가 없다.
《진양하씨대동보》에 따르면 하씨는 고려시대부터 넓은 세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조선 문종 때의 문신인 하연이 편찬한《신미보》에 따르면 진양 하씨는 조상을 같이하는
3가지 계통으로 나뉜다.
* 시랑공파(侍郞公波) - 하공진(河拱辰)을 시조로 한다.
하공진은 고려 현종 때 좌사시랑(左司侍郞)을 역임했고 사후에 평장사(平章事)가 되었다.
* 사직공파(司直公波) - 하진(河珍)을 시조로 한다. 하진은 고려 정종과 문종에 걸쳐
사직(司直)을 역임했다.
* 단계공파(丹溪公波) - 하성(河成)을 시조로 한다. 하성은 고려 때 주부(主簿)를 역임했다.
단계 하씨라고도 한다.
● 본관
지금의 사곡리인 진주시 수곡면 사방동에 살던 하탁(河鐸)은 두 아들인 하석철(河碩哲)과
하명철(河命哲)이 있었는데 하택이 일직 세상을 떠, 아내는 두 아들을 데리고 창원으로 이사한다.
이때부터 해당 지역에 진양 하씨가 자리잡기 시작한다. 현재는 창원시 의창구 북면 내곡리 송촌에
하명철의 후손들이 모여 산다.
● 인물
하륜(또는 하윤, 河崙, 1348년 1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자는 대림(大臨) 또는 중림(仲臨), 호는 호정(浩亭),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은 진양(晋陽)이며,
부사 하윤린(河允麟)의 아들이다. 고려 말 정몽주, 남은, 권근 등과 함께 신진사대부를 형성했고,
처음에는 역성혁명에 반대하다가 1392년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참여했다. 정도전과 함께
한양 천도를 적극 주장했고, 1393년 정도전이 쓴 표전문이 불손하다는 이유로 홍무제가 문책하자
직접 명나라에 가서 사태를 해결하였다. 1398년 충청도 도관찰사로서 제1차 왕자의 난 당시
정안대군 이방원을 도왔다. 1400년(정종 2) 제2차 왕자의 난 당시에도 이방원을 도왔다.
태종 즉위 후 좌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1416년 관직에서 은퇴 후 객사하였다.
이인복, 이색의 문인이다
하연(河演, 1376년 ~ 1453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연량(淵亮), 호는 경재(敬齋) 또는 신희옹(新稀翁)이다.
1396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여 벼슬길로 나아가 1449년 영의정부사에 올랐다
하응림(河應臨, 1536년 ~ 1567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자는 대이, 호는 청천, 본관은 진양이다.
아버지는 참봉 하영수(河永水)이고, 어머니는 남양 방씨(南陽房氏)로
중직대부(中直大夫) 전행예산현감(前行禮山縣監) 방응청(房應淸)의 딸이다.
1555년(명종 10)에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59년에 정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1563년 부수찬, 1566년 정언을 거쳐 공조정랑과 예조정랑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