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는 현재 약 286개의 성,姓 (2000년 통계)이 있으며, 본(本)을 필수 요소로 한다.
한국의 성씨는 삼국 시대 이후 중국의 성씨 제도를 차용한 것이 많고,
고려 시대부터 족보를 만들고 귀족 계급의 성씨 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성씨는 대부분 한 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두 음절로 된 복성(複姓)도 있다.
성씨의 종류가 4천개가 넘는 중국이나 성씨가 10만이 넘는 일본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는 성씨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고, 김(金)씨, 이(李)씨, 박(朴)씨인 사람이
전체 인구의 약 45%를 차지하여 특정 성씨가 차지하는 인구 비중이 매우 높다
■ 강릉 함씨(江陵 咸氏)
■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함규(咸規)는 고려 익찬개국공신(翊贊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광평시랑평장사(廣平侍郞平章事)를 지냈다.
◎관향 -강원도 강릉시
◎시조 -함규 (咸規)
◎주요 집성촌 -경기도 이천시 -강원도 고성군 -강원도 명주군 -강원도
김화군 -강원도 양양군 -평안남도 안주군
◎주요 인물 -함부림, 함우치, 함태영, 함병춘, 함석헌, 함석재, 함명수, 함종빈,
함태호, 함영준, 함종한, 함승희
◎인구(2000년) -56,718명 (123위)
● 기원
함씨의 선계는 한반도 토착 세력으로서 마한(馬韓)의 부족장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함씨의 원조(遠祖) 함혁(咸赫)은 삼한 초기 한강을 중심으로 여러 부족이 부족국가를 형성할 때
용문산 서록(西麓 : 현재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상곡)에 석성(石城)을 쌓고
웅거(雄據)한 촌장으로 세칭(世稱) 함왕주악(咸王周鍔)이라 불리었다고 전한다.
경기도 양평군의 용문산(龍門山) 기슭에 마한의 부족장 함왕(咸王)이 세웠다는
석성(石城) 유적과 그의 출생 전설이 서린 바위굴이 있다.
● 시조
강릉 함씨(江陵咸氏)의 시조 함규(咸規)는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공을 세워 익찬개국공신(翊贊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광평시랑평장사(廣平侍郞平章事)를 역임하였다.
● 본관
함규의 후손 함제(咸濟)가 명주(溟州: 현재의 강릉시)로 이주하면서부터
후손들이 양근 함씨에서 분적하여 강릉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 인물
함부림(咸傅霖, 1360년 ~ 1410년)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이성계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예조의랑을 거쳐 좌산기상시 겸 상서소윤,
의정부참지사, 대사헌이 되었다.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과 함께 왕자 방석을 옹립하였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았다.
함태영(咸台永, 1873년 ∼ 1964년) : 한말의 독립운동가·정치가·종교인. 3·1운동 때
민족대표 48인의 한 사람이다. 광복 후 심계원장(審計院長), 한국신학대학장을 역임하였으며
대통령 이승만과 함께 제3대 부통령에 당선되었다.
본관 강릉(江陵). 호 송암(松岩). 함경북도 무산군(茂山) 출생이다.
함석헌 : 사상가, 민권운동가
함진규 : 제19대 국회의원
●과거 급제자
강릉 함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명, 무과 급제자 21명, 사마시 15명을 배출하였다.
고려 문과 -함부림(咸傅霖) 함승경(咸承慶)
고려 사마 -함부림(咸傅霖)
문과 -함사겸(咸士謙) 함우복(咸遇復) 함헌(咸軒)
무과 -함경록(咸卿祿) 함경행(咸敬行) 함구령(咸龜齡) 함대기(咸大起)
함대영(咸戴英) 함대훈(咸戴勲) 함덕기(咸德淇) 함덕춘(咸德春) 함득신(咸得信)
함세형(咸世亨) 함유태(咸有泰) 함응길(咸應吉) 함응철(咸應哲) 함의신(咸義信)
함이성(咸以成) 함인욱(咸仁郁) 함인혁(咸仁赫) 함자정(咸自正) 함정의(咸挺義)
함창억(咸昌億) 함태신(咸泰信)
생원시 -함구성(咸九成) 함대형(咸大亨) 함동수(咸東洙) 함석견(咸錫汧) 함우공(咸禹功)
함종표(咸鍾彪) 함창수(咸昌洙) 함헌(咸軒)
진사시 -함구명(咸九命) 함기영(咸基榮) 함달면(咸達冕) 함성화(咸星花) 함영식(咸榮植)
함원직(咸元直) 함원회(咸元會)
취재 -함영부(咸永孚)
● 세계표
원조 : 함혁(문강공) 2대 : 함신(정숙공) 3대 : 함숭담 4대 : 함필천 5대 :
함응상 6대 : 함웅진 7대 : 함용관 8대 : 함의 :9대 :
함규(양후공) - 강릉함씨의 시조
●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강릉함씨는
1985년에는 총 13,265가구 54,980명,
2000년에는 총 17,662가구 56,718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