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편 호도 / 31. 군용(軍用)
제4편 호도 - 호랑이처럼 위맹을 떨쳐라
31. 군용(軍用) - 다양한 무기를 사용하라
무왕이 물었다.
“군주가 거병하여 군대무기와 공수용 기구를 정비할 때 그 종류나 등급 및 수량 등에 일정한 법칙이 있는 것이오?”
여상이 대답했다.
“대왕의 질문이 참으로 훌륭합니다! 공수용 무기에는 여러 종류와 등급이 있습니다. 이는 군대의 무위(武威)를 결정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무왕이 청했다.
“원컨대 그에 대하여 듣고 싶소.”
여상이 대답했다.
“용병할 때 필요한 무기와 장비는 대략 이렇습니다. 1만 명의 무장한 병사를 지휘할 때는 원칙적으로 좌우로 방어용 방패를 둘러친 충격용 대형전차인 이른바 무충대부서(武衝大扶胥) 36대를 씁니다. 무용이 뛰어난 병사가 쇠뇌와 창을 들고 전차 옆에서 호위합니다. 전차 1대당 24명의 병사가 따라붙습니다. 전차는 높이가 8자이고, 여기에 군기를 세우고 전고를 둡니다. 병법에서는 이를 진해(震駭)라고 합니다. 적의 견고한 진지를 함락시키고 강적을 무찌를 때 사용합니다.
다음에는 대형방패와 창검으로 무장한 전차인 무익대로모극부서(武翼大櫓矛戟扶胥) 72대를 씁니다. 무용이 뛰어난 병사가 쇠뇌와 창을 들고 전차 옆에서 호위합니다. 전차는 높이가 5자이고, 여기에는 쇠뇌를 강하게 잡아당기는 기계인 교거(絞車)를 단 연노(連弩)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적의 견고한 진지를 함락시키고 강적을 무찌를 때 사용합니다. 다음에는 방패를 소규모로 둘러친 경무장 전차인 제익소로부서(提翼小櫓扶胥) 140대를 씁니다. 여기에도 교거를 단 연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전차바퀴가 매우 작아 사람이 밀고 가는 외바퀴 수레인 녹거(鹿車)를 닮았습니다. 이 또한 적의 견고한 진지를 함락시키고 강적을 무찌를 때 사용합니다.
다음에는 강한 쇠뇌인 대황(大黃)에 연노까지 곁들인 대형 중무장 전차인 대황참련노대부서(大黃參連弩大扶胥) 36대를 씁니다. 무용이 뛰어난 병사가 쇠뇌와 창을 들고 전차 옆에서 호위합니다. 여기에는 비부(飛鳧)와 전영(電影)이라는 깃발을 세웁니다. 비부는 적색 깃대에 흰 깃을 단 것으로 깃대 끝은 구리로 되어 있습니다. 전영은 청색 깃대에 적색 깃을 단 것으로 깃대 끝은 쇠로 되어 있습니다. 낮에는 길이 6자, 너비 6치의 적색 비단 기를 세웁니다. 이를 광요(光耀)라 합니다. 밤에는 길이 6자, 너비 6치의 백색 비단 기를 세웁니다. 이를 유성(流星)이라 합니다. 적의 견고한 진지를 함락시키고 적의 보병과 기마병을 격파하는 데 사용합니다.
다음에는 대형의 충돌용 전차인 대부서충차(大扶胥衝車) 36대를 씁니다. 당랑(螳螂)처럼 용맹한 무사가 여기에 올라탑니다. 종횡으로 적진을 충격(衝擊)할 때 사용합니다. 강적도 쉽게 무찌를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가볍게 무장한 쾌속의 경거(輕車)를 배치합니다. 속도가 번개처럼 빠른 까닭에 일명 전차(電車)라고도 합니다. 병법에서는 이를 전격(電擊)이라 합니다. 이 또한 적의 견고한 진지를 함락하고 보병과 기마병을 격파하는 데 사용합니다.
적군이 야음을 타고 아군 진영을 공격할 때는 창으로 무장한 경전차인 모극부서(矛戟扶胥) 160대를 동원해 막습니다. 전차 1대당 당랑처럼 용맹한 병사 3명을 태우고 나가 싸웁니다. 병법에서는 이를 정격(霆擊)이라 합니다. 이 또한 적의 견고한 적진을 함락시키고 보병과 기마병을 무찌르는 데 사용합니다. 적과 맞붙을 때는 대가리가 큰 방형의 철봉(鐵棓)을 씁니다. 무게가 12근이고 자루의 길이가 5자 이상 되는 것이 1,200개 있습니다. 일명 천봉(天棓)이라 합니다. 다음에는 자루가 긴 도끼인 대가부(大柯斧)를 씁니다. 도끼날의 길이가 8치, 무게가 8근, 자루의 길이가 5자 이상 되는 것이 1,200개 있습니다. 일명 천월(天越)이라 합니다.
다음에는 대가리가 큰 방형의 철추(鐵錘)를 씁니다. 무게가 8근, 자루의 길이가 5자 이상 되는 것이 1,200개가 있습니다. 일명 천추(天錘)라고 합니다. 이상 3가지 병기는 적의 보병과 기마병이 떼를 지어 쳐들어올 때 쳐부수는 데 적합합니다. 다음에는 비구(飛鉤)를 씁니다. 길이가 8치, 갈고리 길이가 4치, 자루의 길이가 6자 이상 되는 것이 1,200개가 있습니다. 이는 몰려드는 적군을 향해 내던진 뒤 적을 긁어서 잡아당길 때 사용합니다.
전군이 방어에 나설 때 사용하는 무기로는 나무를 깎아 만든 목당랑(木螳螂)이나 칼날 및 화살촉 등을 한 줄로 길게 엮어서 주렁주렁 매단 전차인 목당랑검인부서(木螳螂劍刃扶胥)가 있습니다. 너비 2장(丈) 되는 것을 120대 준비합니다. 일명 행마(行馬)라고 합니다. 평탄한 땅에서 아군의 보병이 적의 전차병이나 기마병을 깨뜨릴 때 사용합니다. 나무로 만든 커다란 마름쇠인 목질려(木蒺藜)가 있습니다. 지면에서 높이 2자 5치 되는 것을 120개 준비합니다. 적의 보병과 기마병을 깨뜨리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고, 패주하는 적을 차단하고 싸울 때 사용합니다.
굴대가 짧아 방향을 돌리기에 편하고 창을 주렁주렁 매단 전차인 축선단충모극부서(軸旋短衝矛戟扶胥)도 있습니다. 120대를 마련합니다. 이것은 옛날 황제가 치우(蚩尤)를 격파할 때 사용한 것입니다. 적의 보병과 기마병을 공격하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고, 패주하는 적을 차단하고 싸울 때 사용합니다. 좁은 길과 작은 길에는 철로 만든 마름쇠인 철질려(鐵蒺藜)를 흩뜨려 둡니다. 뾰족한 날의 높이는 4치, 너비는 8치, 길이는 6자 이상 되는 것을 1,200개 마련합니다. 적의 보병과 기마병을 깨뜨릴 때 사용합니다.
적이 야음을 틈타 쳐들어와 백병전이 벌어질 때는 지상에 미리 그물모양의 장애물을 설치하고 양 끝이 뾰족한 마름쇠를 이용합니다. 이때 이를 연이은 직녀(織女)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뾰족한 끝과 끝이 대략 2자 되는 것을 1만 2,000개 준비합니다. 광야의 풀이 우거진 곳에는 병기의 머리와 자루가 방형으로 결합된 짧은 창을 매설합니다. 모두 1,200개를 준비합니다. 높이가 1자 5치쯤 되게 하여 풀 속에 매설합니다. 적의 보병과 기마병을 격파하고, 진퇴에 궁해진 적을 요격하고, 패주하는 적을 차단하여 싸울 때 사용합니다. 좁은 길이나 작은 길 또는 움푹 들어간 곳에는 쇠사슬인 철계쇄(鐵械鎖)를 사용합니다. 이를 연이은 쇠사슬을 120개 준비합니다. 적의 보병과 기병을 깨뜨리고, 궁지에 몰린 적을 요격하고, 패주하는 적을 차단하고 싸울 때 사용합니다. 영채의 문을 방비할 때는 창을 매단 작은 방패인 모극소로(矛戟小櫓)를 사용합니다. 미리 12개를 준비합니다. 이때 쇠뇌를 잡아당기는 교거가 장착된 연노(連弩)를 곁들여서 방비합니다.
전군이 적의 공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갈고리 등을 끼워 넣어 공중에 매단 그물인 천라(天羅)와 가시 대나무 울타리인 호락(虎落), 쇠사슬을 연결한 쇄련(鎖連)을 사용합니다. 1벌당 너비 1장 5자, 높이 8자 되는 것으로 120벌을 준비합니다. 사방을 호락으로 둘러친 뒤 칼날이 밖으로 향하도록 한 방어용 전차인 호락검인부서(虎落劍刃扶胥)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너비 1장 5자, 높이 8자 되는 것을 510대 준비합니다. 참호나 해자를 건널 때는 비교(飛橋)를 사용합니다. 너비 1장 5자, 길이 2장 이상 되는 것으로 준비합니다.
여기에 회전하는 도르래인 전관녹로(轉關轆轤) 8벌을 부착한 뒤 녹로에 연결된 밧줄을 이용해 부교를 가설합니다. 큰 강을 건널 때는 비강(飛江)을 사용합니다. 너비 1장 5자, 길이 2장 이상 되는 것으로 8벌을 마련합니다. 고리에 연결된 밧줄을 이용해 가설합니다. 강물에 뜨는 부교(浮橋)의 일종인 천부철당랑(天浮鐵螳螂)은 안이 네모지고, 밖이 둥근 장치입니다. 직경이 4자 이상 되고 쇠사슬로 연결된 것을 32개 마련합니다. 천부라는 거룻배로 비강이라는 다리를 놓으면 능히 큰 바다도 건널 수 있습니다. 이것을 천황(天潢)이라 합니다. 일명 천강(天舡)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산림이나 평야에 주둔할 때는 호락(虎落)이라는 울타리를 주위에 두른 영채를 세웁니다. 이때 고리를 연결해 자유로이 도는 쇠사슬인 환리철쇄(環利鐵鎖)는 길이 2장 이상 되는 것으로 1,200개, 쇠사슬의 굵기가 큰 환리대통색(環利大通索)은 굵기 4치에 길이가 4장 이상 되는 것으로 600개, 중간 굵기의 환리중통색(環利中通索)은 굵기 2치에 길이가 4장 이상 되는 것으로 200개, 작은 굵기의 환리소미루(環利小微縲)는 길이 2장 이상 되는 것으로 1만 2,000개가 필요합니다.
비가 올 때는 삼으로 만든 밧줄을 이용해 전차 위에 판자를 엇물려 겹쳐 덮어야 합니다. 판자는 너비 4자, 길이 4장 이상의 것으로 전차 1대당 1벌씩 사용합니다. 쇠말뚝을 박고 그 위에다 판자를 칩니다. 벌목용 큰 도끼는 무게가 8근, 자루의 길이가 3자 이상 되는 것으로 300개를 준비합니다. 다음으로 괭이는 날의 너비 6치, 자루의 길이 5자 이상 되는 것으로 300개를 준비합니다. 또 동축고위수(銅築固爲垂)라고 하는 벌목기구는 길이 5자 이상 되는 것으로 200개, 매의 발톱처럼 생긴 날이 있는 네모난 쇠갈고리인 응조방흉철파(鷹爪方胸鐵把)는 자루의 길이 7자 이상 되는 것으로 300개, 방형의 쇠작살인 방흉철차(方胸鐵叉)는 자루의 길이 7자 이상 되는 것으로 300개, 방형의 쇠작살로 끝이 둘로 갈라진 방흉양지철차(方胸兩枝鐵叉)는 길이 7자 이상 되는 것으로 300개를 준비합니다. 이 모두 벌목하는 데 사용합니다.
초목을 벨 때 쓰는 큰 낫인 대렴(大鐮)은 자루 길이 7자 이상 되는 것을 300개 준비합니다. 커다란 노 모양으로 생긴 칼인 대로도(大櫓刀)는 무게 8근, 자루의 길이 6자 이상 되는 것을 300개 준비합니다. 그 밖에 고리가 달린 쇠말뚝인 위환철익(委環鐵杙)은 길이 6자 이상 되는 것을 300개 준비합니다. 쇠말뚝을 박는 데 쓰는 큰 망치인 탁익대추(椓杙大錘)는 무게 5근, 길이 5자 이상 되는 것을 120개 준비합니다. 무장한 병사 1만 명이 출정할 경우 큰 쇠뇌로 무장한 6,000명, 미륵창과 큰 방패로 무장한 2,000명, 통상적인 창과 방패로 무장한 2,000명으로 구성됩니다. 그 밖에 공격용 무기를 수리하고 병기를 정비하는 300명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거병하여 작전을 펼 때 필요한 무기와 장비의 개략적인 내용입니다.”
무왕이 말했다.
“참으로 옳은 말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