寓話와 神話/백유경(百喩經) 2. 소젖을 모으는 사람 늘푸른 봄날처럼 2019. 3. 1. 18:57 소젖을 모으는 사람. 옛날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장차 손님을 청하여 소의 젖을 모아 대접하려고 자리를 마련하고는 이렇게 생각했다. '내가 만약 날마다 미리 소젖을 짜두면 소젖은 점점 많아져 마침내 둘 곳 이 없게 될 것이며, 또한 맛도 변해 못쓰게 될 것이다. 그러니 이렇게 하기보다는 소젖을 소 뱃속에 모아두었다가 모임이 있을 때쯤에 한꺼번에 짜내는 것이 낫겠다.' 이렇게 생각하고는 곧 어미소와 새끼를 따로 매어 두었다. 한 달이 지난 후 잔치를 마련하고 손님을 맞이하였다. 소를 끌고 와서 젖을 짜려 하였으나 그 소의 젖은 말라 없어지고 말았다. 그러자 거기 모인 손님들이 성을 내거나 혹은 비웃었다. 어리석은 사람도 이와 같아서 보시를 하려다가 '내게 재물이 많이 쌓이기를 기다렸다가 한꺼번에 보시하리라'고 생각하지만, 모으기도 전에 관청이나 수재(水災)나 화재(火災)나 혹은 도적에게 빼앗기거나 또는 갑자기 목숨을 마치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보시할 수 없게 된다. ----------------------------------- 《백유경(百喩經)》은 인도의 승려 승가사나 (僧伽斯那,5세기)가 지었고, 그의 제자 구나비지(求那毘地,)가 492년에 한역했다. 재미있고 쉬운 비유로 이해하기 어려운 붓다의 가르침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으며. 모두 98가지 이야기로 되어 있다,